고분자나노융합소재가공기술센터
Center for Nano-Structured
Polymer Processing Technology
Polymer Processing Technology

한국과학기술연구원 (KIST)
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(미세유체연구실)
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(미세유체연구실)
전 명 석 교수

학력 및 주요 경력
- 1987. ~ 1988.   한화그룹종합연구소 연구사원
- 1990.03. ~ 1994.02.   KAIST 화학공학과 PhD (Advisor: O Ok Park)
- 1993.12. ~ 1995.02.   한국화학연구원 멤브레인 분리연구실, Post-doc (Mentor: Kew-Ho Lee)
- 1995.03. ~ 1996.08.   University of California at Davis 화학공학과, Post-doc (Macromolecular Hydrodynamics Lab, Mentor: Ron J. Phillips)
- 1996.08. ~ 현재   KIST 고분자부, 생체과학부 선임연구원/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책임연구원
- 1999.04. ~ 1999.08.   Max-Planck 연구소 (Mainz), Theory Group, Guest Scientist (DFG-Fellow)
- 2004.03. ~ 현재   (UST) KIST School, 바이오-메디컬 융합전공 전임교수
- Micromachines, Micro (MDPI Journal), Editorial Board Member, Korea-Australia Rheology Journal, Editor-in-Chief
주요 연구분야
- Micro/nanochannel, membrane pore, hydrogel 등 한정된 미세공간에서의 복잡유체 거동
- 입자-입자 및 입자-벽면 사이의 long-range 상호작용 계산 및 실험
- 계면동전기 미세유체공학 (electrokinetic microfluidics) 및 유동가시화
- Microfluidic-chip 기반의 입자/세포의 크기 별 분리 (sorting) 및 병원균의 검출 센싱
- Microfluidic-chip 기반의 미세에너지 전환
- 복잡유체계의 분자시뮬레이션 (Brownian dynamics, molecular dynamics, Monte Carlo)
주요 연구과제
- 점탄성 유체의 계면동전기 유동 프로세스를 응용한 미세에너지 수확 (한국연구재단)
- 전해질 수용액의 미세채널 유동에 의한 계면동전기 플루이딕스 연구 (미래원천, KIST)
- 미세유체칩 기반의 병원성 유해물질의 신속 정확한 검출 (K-DARPA, KIST)
산업관련 역량
- 중소기업에의 미세유체칩 및 미세유동기술 관련 특허양도 다수
- 현재 KIST 기술사업전략본부 혁신기업사업화센터 겸임연구원으로 미세유체칩의 바이오의료분야 응용 관련 기술평가 및 産硏협력과제 수행
- 현재 한국기술벤처재단 기술창업스카우터로 수용성 하전성 복잡유체계 해석 관련 기술자문 수행